머리로 말고, 그냥 껴안고 엉겨 붙어 사는 거다.
머리로 말고, 그냥 껴안고 엉겨 붙어 사는 거다.
창가에 졸로리 놓았던 작은 화분에
수박도 열리고 토마토 고추 오이도 열렸다.
주먹만한 수박을 따서
스무 두 조각으로 나누어 먹는다.
그래도 수박이라고
달달하고 시원한 수박 맛도 나고
수박 냄새도 난다.
서너 줌 흙에 뿌리내리고
사나흘에 한 번씩 주는 수돗물 받아먹고
이만큼이라도 자라주니
음, 고맙지.
암, 장하지.
겨우 손가락 두 마디만한 조각 하나 들고 입으로 가져가다
울컥 눈물이 난다.
수박 한 조각씩 들고 가
옹기종기 모여 먹는 우리 아이들.
저 작은 아이들이 마치
서너 줌 얕은 흙에 뿌리내린
저 수박 토마토 고추들 같아서.
든든하게 지켜주는 부모형제 울도 없이
거친 비바람 맞으면서
야트막한 땅에 겨우 실뿌리처럼 가느다랗게 서 있는…….
그래도 얘들아
조금 일찍 혼자 서는 거라고
다른 아이들보다 조금 먼저 내 길을 찾아나서는 거라고
마음 단단히 먹고, ……
쳇, 이게 뭐람. 갈수록 왜 이러냐고. 이게 무슨 위로가 된다고. 나도 어쩔 수 없는 꼰대밖에 안 되는 게지. 문집 마무리하느라 전에 끼적거렸던 글 찾아 마무리하다 말고 한참 멍하니 앉았다.
저 아이들이 걸어갈 힘들고 외롭고 무서울 그 길에, 고작 이 정도 감상이 뭔 소용 있담. 내가 아직 덜 아픈 거다. 아니, 아직 아무 것도 모르고 밝고 이쁘게 자라는 아이들 앞에 미리 겁낼 거 뭐 있어. 값싼 감상에 빠질 일이 아니지. 그냥 아홉 살 여덟 살 아이, 딱 그만한 아이들이랑 살면 되는 거지.
진짜 그냥 살기만 하면 되나? 저 아이들이 자라면 절로 힘이 생기나?
아우욱, 술 한 방울 입에 안 댔는데 왜 이렇게 횡설수설이냐. 아, 어서 내일모레 지나가고 우리 아이들이나 보고 싶다. 만나면 이런 건 아무 것도 아닌 걸. 그냥 피식 웃다가 으르릉대다가. 그렇게 껴안고 엉겨 붙어 살아지는 걸.